강녕헌_康寧軒

康寧軒

​강녕헌의 건축주는 패션 회사를 운영하시는 기업인이다. 그만이 가지고 있는 건축에 대한 생각들, 평소 갖고 계신 절제된 건축에 대한 추구가 큰 영감으로 와닿았고, 큰 영향력을 끼쳤다. 강녕헌은 대칭과 수평 비례에서 출발하여, 고전적인 우아함을 도시의 현대적 관점으로 정의 내렸다. 

강녕헌이 위치한 판교 주택 단지에서는 서로 경쟁하듯 주택의 현대성 경쟁의 장이다. 그런 측면에서 2필지를 합필하여 코너 대지의 장점이 존재하기에 수평성이 강조된 조형으로 귀결된다. 이 점은 이미 건축주도 인지하여, 수평성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설계 작업에 들어갔다. 건축의 개념은 가장 기본적이고 원초적인 형태 구성에서 출발하여, 비례, 대조 비대칭 등의 과정을 거쳐, 최소한의 형태 안에 구성되는 공간의 리듬을 추구한다. 단순함에서 나오는 TIMELESS를 믿으며, 직각과 직선이 만나는 교점에서의 무게감과 중력을 중시하며, 고전의 재해석을 통한 현대적 표현을 하였다. 손끝에서 느껴지는 자재들의 구성에 예민하고, 재료들이 만나는 지점들의 디테일 연구가 항상 선행되었다.

표면, 구조, 내부의 조직 구성은 기술적 디테일에 의해서 구성된다는 원칙 아래 작업을 진행하고, 결국 기술의 제대로 된 구현은 건축적 감동으로 이어진다는 신념을 작업의 중심으로 삼았다.
건축의 기술에 대한 생각은, 질 낮은 타협을 지양하고 최선의 건축으로 웰메이드  아키텍처를 구현하는데, 기술의 디테일이 예술적인 측면을 갖추도록 하고, 건축 개념의 결과물이 기술의 구현과도 접점을 이루게 하였다.

대담한 형태와 큰 움직임이 있는 구조적 성취를 이루기보다는 미적 순수성을 축약한 직각과 직선이 두드러지는 존재감의 건축으로 표현하고자 했다. 한편, 폴리폼 가구를 적용함에 따라 구상하는 공간의 완성도는 한층 더 깊이감을 더했다. 폴리폼은 빌트인에서부터 시작해서 다양한 가구의 스펙트럼이 있는데, 하나같이 미니멀하면서 디테일까지 폴리폼이 주는 만족도와 공간의 시너지는 최대의 만족도를 보여주었다. 기본적인 건축구조와 조형, 공간, 입면의 큰 틀에서 구조체의 골격을 결정함에 있어서 폴리폼의 조형성은 큰 도움이 되었다.

각 프로젝트마다 경계를 넓히고자 노력하고 있는 건축가로서는 이런 건축주를 만난 것은 행운이었다. 어쩌면 건축가의 손끝에서 나온 스케치로 완성된 건축이지만, 건축주의 철학과 신념이 조합된 공동작업이라고 해석해야 맞을 듯하다. 현재 입주하셔서 매일매일 행복한 건축과 공간의 즐거움을 만끽하고 계시니, 건축가로서 무한한 영광이자 인생의 행복을 공유하고 있다고 감히 말할 수 있겠다.

사진 _ 김용관
강녕헌-photo-by-kim-yongkwan-001.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02.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03.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04.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05.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06.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07.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08.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09.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10.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11.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12.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13.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14.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15.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16.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17.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18.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19.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20.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21.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22.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23.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24.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25.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26.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27.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28.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29.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30.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31.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32.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33.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34.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35.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36.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37.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38.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39.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40.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41.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42.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43.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44.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45.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46.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47.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48.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49.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50.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51.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52.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53.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54.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55.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56.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57.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58.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59.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60.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61.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62.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63.jpg
강녕헌-photo-by-kim-yongkwan-064.jpg